PPP (Point to Point Protocol)

Point to point protocol 이란?

점대점 통신 즉 두 양쪽 노드 간의 통신을 하도록 도와주는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링크 계층 상에서 동작하는  두 양쪽 노드 사이의 링크에 Connection을 개설하고 유지, 관리, 시험 및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점대점 데이터링크를 확립하고 그 위에 3계층 프로토콜을 캡슐화한다. 주로 IP 전송을 위주로 하지만 그 외에 여러 3계층 프로토콜의 복합 전송도 가능하다.

 

PPP의 특징

  1. LCP (Link Control Protocol) : 연결 양끝 노드 간 점대점 직렬 링크를 구성하여 데이터 전달
  2. NCP (Network Control Protocol) : 단일 링크 상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계층용 프로토콜을 다중화 시켜 사용이 가능하다. 주로 IP 캡슐화용 프로토콜로 많이 사용되지만 다른 프로토콜들도 캡슐화해서 전송이 가능하다.
  3.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에서 유래되었다. 프레임 형식이 매우 유사하다. 
    플래그 + 주소 + 제어필드 + (프로토콜필드) + 정보데이터 + CRC + 플래그 의 형식이다. ppp에만 프로토콜 필드가 추가되었다.
  4. 여러 기능을 지원 : 
    - 에러검출 : 각 PPP 프레임 헤더마다 CRC를 삽입하여 에러검출
    - 압축 : 느린 물리 링크에서 선택적인 압축이 가능해 성능을 향상
    - 인증 : PPP용 인증 프로토콜이 있다. (PAP, CHAP 등)
    - 암호화 : 데이터에 대한 선택적인 암호화가 가능하다.
    - 링크 통합 : 여러 물리적 링크를 통합시켜 하나의 고성능 데이터 링크로 동작시킨다.
  5. 기존의 링크 계층 위에 PPP를 올려서 사용할 수 있다.
  6. 동적 IP 주소 자동 할당 가능하다.

PPP의 구성 요소

  • Encapsulation (캡슐화) : 데이터링크 상에서 3계층 패킷을 프레임화 또는 캡슐화한다. 어떤 직렬 회선에서도 안정된 전송을 보장하며 HDLC 방식에 기초한 프레임화 기법을 사용한다.
  • LCP : PPP 데이터 링크를 개설, 유지, 종료, 시험한다. 직렬 연결 회선을 제어관리하고, 최대 프레임 길이, 인증용 프로토콜 등을 결정한다.
  • NCP : 서로 다른 계층 프로토콜이 가능하게 하고, 세부적인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단일 PPP 링크에 복수의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PPP의 인증 프로토콜

PAP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 상대쪽 노드에게 신원을 확인 할 때 2-way-handshake를 사용한다.
            username과 password 로 신호를 보내고 인증이 완료되면 통신할 수 있다. 평문을 사용하므로 보안이 약하다.

CHA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 PAP 보다 보안이 강화된 인증 프로토콜이다. 상태쪽 노드에게 신원을                 확인할 때 3-way-handshake를 사용한다. 또한 해싱을 이용해 암호화한다. 보안성이 증가한 만큼 인증 과정도 증가한다. 

 

 

PPP 설정 명령 (최소)

먼저 username 과 password 를 설정한다.

PAP

(config)# interface [ ppp 적용할 인터페이스 ]

(config-if)# encapsulation ppp

(config-if)# ppp authentication pap

(config-if)# ppp pap sent-username [ 통신 보낼 장치의 유저네임 ] password [ 통신 보낼 장치의 패스워드 ]

 

CHAP

(config)# interface [ ppp 적용할 인터페이스 ]

(config-if)# encapsulation ppp

(config-if)# ppp authentication chap

'네트워크 > 라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RF (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0) 2023.11.04
Frame relay  (0) 2023.11.04
BGP (eBGP 설정)  (0) 2023.09.20
CBAC (컨텍스트 기반 액세스 제어)  (0) 2023.08.06
Standard ACL, Extended ACL 실습  (0) 2023.07.30
myo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