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심화 1편

단편화
전송 블록을 같은 크기로 나눔

재합성
수신 측에서 단편화된 데이터 합쳐서 복원

“흐름”제어
데이터 양, 통신 속도

“연결”제어
비연결성, 가상회선 -> 통신로 유지, 개설, 종료

TCP 헤더
- Source Port
- Destination Port
- Acknowledge
- Flags
- Windows Size
- Checksum

3-way-handshake
SYN -> SYN-ACK -> ACK

UDP 헤더
- Source Port
- Destination Port
- Length
- Checksum

Well-known-port
- FTP : 20, 21
- SSH : 22
- Telnet : 23
- DNS : 53
- DHCP : 67, 68
- TFTP : 69
- HTTP : 80
- HTTPS : 443
-> 포트 확인 명령어 : netstat -ano

IPv6 (128bit)
16비트씩 “8쌍”
0000 인 부분 생략 가능 ( ::: )

IPv6 헤더
-  “Version”
- Traffic Class
- Flow label
- Payload Length
- Next Header
- Hop Limit : 데이터 생존 기간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최대 패킷 크기
(Ex)
Data : 2400
MTU : 980
Ipv4 헤더크기 : 20bytes
[ 20 + 960 ] [ 20 + 960 ] [20 + 480 ] = 2400 + 60

ARP <-> RARP
ARP : IP 주소 -> MAC 주소
RARP : MAC 주소-> IP 주소

ARP 헤더
- Opcode (Request 1 or Response 2)
- Hardware / Protocol Type / Addr Length
- HardWare / Protocol Address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Type : 0, 8 / Name : echo Req, Res / desc : 디버깅용 응답, 요청
- Type : 4 / Name : Source Quench / desc : 송신측 전송 속도를 늦춰라
- Type : 5 / Name : Redirection / desc : 라우팅 테이블 주소 변경 시 업데이트
- Type : 3 / Name : Destination unreachable / desc : 클라이언트 문제
- Type : 11 / Name : TTL exceeded / desc : 서버 문제

IGMP (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
Ipv4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팅 설정 시 사용
여러 장치가 하나의 ip 주소를 공유해서 모두 동일한 데이터 수신 가능
TTL 제공하는 비대칭 프로토콜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이메일 송신
TCP 응용 프로토콜
ASCII로 전송
SSL 암호화
포트 #25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서버로부터 이메일 관리, 수신, 저장, 동기화
포트 #143

POP3 (Post Office Protocol 3)
이메일 수신, 확인 후 삭제
포트 #110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TCP / IP 를 사용하는 망 관리 프로토콜
UDP 데이터그램 방식 사용 (보안, 관리 감소)
GET, GET NEXT, SET, TRAP 네가지 기능
비동기식

DNS
Default = UDP
512bytes 이상의 패킷이면 TCP 사용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가상 네트워크 생성 및 제어,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기존 하드웨어 제어

LAN 표준 IEEE
- 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MAC BRIDGE
- 802.2 : LLC(Label Link Control)
- 802.3 : CSMA / CD
- 802.4 : 토큰 버스
- 802.5 : 토큰 링
- 802.6 : MAN
- 802.7 : 광대역 LAN
- 802.8 : 광섬유 LAN
- 802.10 : 보안 (security)
- 802.11 : 무선 네트워크, CSMA / CA

에러 종류와 원인
1. 감쇠 : 이동하면서 신호 세기가 약해짐, 증폭기 or 리피터 로 해결
2. 지연 왜곡 : 주파수에 따라 신호 속도가 달라져서 신호 손상 유발
3. 잡음
- 열 : 진동 스펙트럼 (백색 … )
- 충격 : 순간적인 높은 진폭 (기계적 충격, 낙뢰 …)
- 누화 : 인접 전송매체의 전자기적 상호 유도
- 상호 변조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같은 전송매체 공유 -> 주파수 신호 차이
4. 에코 : 약해진 신호가 다시 송신측으로 돌아옴
5. 위상 지터 : 연속적인 위상 변화 -> 편차 커짐

전송 에러 제어 방식
1. 반복 전송 : 송신 -> 동일 데이터 2번 이상 연속 전송 / 수신 -> 데이터 비교, 오류 여부 확인
2. 궤환 전송 : 송신측으로 궤환된 데이터 비교, 검사
3. 전진오류 수정 (FEC) : 송신 -> 정보비트 + 부가코드 전송 / 수신 -> 이 부호로 오류 검출, 수정 (헤밍코드, 순환 잉여 검사 CRC)
4. 후진오류 수정 (BEC) : 오류 발생시 수신측에서 재전송 요구 (ARQ)

'네트워크 > 네트워크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잘한 오답 22  (0) 2024.08.18
자잘한 오답  (0) 2024.08.04
네트워크 (+서버) 기초 심화 3편  (1) 2024.06.16
네트워크(+서버) 기초 심화 2편  (1) 2024.06.09
myoskin